infort.

단백뇨의 원인 및 치료 방법

🧪 소변에서 단백질이 검출되는 단백뇨는 일시적 현상부터 신장질환까지 원인이 다양합니다.
📌 정확한 해석과 치료는 원인 파악이 먼저예요.


단백뇨 자세하게 알아보기 →

① 단백뇨란?

• 콩팥의 여과막을 통과한 단백질이 소변으로 나오는 상태예요.
정상에 가까운 소량은 일시적으로 나올 수 있으나, 반복되면 평가가 필요합니다.



② 단백뇨 판정 기준(요약)

요 알부민/크레아티닌 비(ACR)
<30 mg/g: 정상 범주
30~300 mg/g: 미세알부민뇨 (초기 신손상 가능)
>300 mg/g: 거대알부민뇨 (임상적 단백뇨)

요 단백/크레아티닌 비(UPCR) >150~200 mg/g이면 단백뇨 의심
• 소변시험지 1+ 이상이 지속되면 정밀검사 권장

※ 수치는 검사실/키트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어요.


③ 단백뇨의 흔한 원인

일시적(양성) 단백뇨: 격한 운동, 탈수, 발열/감염, 스트레스, 한랭 노출, 기립성(청소년·젊은 층) 🙆‍♂️
신장 자체 질환: 사구체신염, IgA 신병증, 막성신증, 당뇨병성 신증, 고혈압성 신증, 다낭신 등
전신 질환: 당뇨·고혈압, 루푸스/자가면역질환, 감염(신우신염), 다발골수종(벤스-존스 단백)
약물/독성: NSAIDs(진통소염제), 일부 항생제/항암제, 조영제 등
임신: 고혈압+단백뇨 동반 시 자간전증 의심 ⚠️


④ 어떻게 검사하나요?

소변시험지로 스크리닝 → 이상이면
ACR/UPCR(무작위 소변) 또는 24시간 소변 단백량
혈액검사 Cr/eGFR, 전해질, 알부민, 지질
• 필요 시 신장 초음파, 자가면역·단백전기영동, 드물게 신장생검
• 임신 중이면 혈압·ACR 동시 평가


⑤ 치료 원칙

1) 원인 교정: UTI 치료, 약물(특히 NSAIDs) 중단/대체, 염증·자가면역 질환 치료 등
2) 혈압·당 조절: 목표 혈압 보통 <130/80 권장, 당화혈색소 개별 목표 설정
3) 단백뇨 감소 약물
ACE 억제제/ARB: 1차 선택, 단백뇨·신보호 효과
SGLT2 억제제: 당뇨/단백뇨 동반 CKD에서 신보호 + 단백뇨 감소
└ 필요 시 MRA(피네레논 등) 추가 고려(전문의 판단)
4) 생활습관 🥗🚶‍♀️
└ 염분 5g/일 내외로 줄이기, 수분 적정 섭취(과음수·탈수 모두 피함)
└ 규칙적 운동·체중 관리, 흡연·과음 중단
└ 과도한 단백질 보충제/크레아틴은 일시적 상승 유발 가능 ➜ 필요성 재평가


⑥ 언제 바로 병원 가야 하나요?

거품뇨 지속 + 부종(발/눈 주변), 소변량 급감, 혈뇨 동반
혈압 급상승(특히 180/120 이상)·심한 두통/흉통/호흡곤란
임신 중 단백뇨 + 두통/시야장애/상복부 통증 → 응급 평가
• 고열·옆구리 통증(신우신염 의심)


⑦ 집에서 체크할 포인트 ✅

- 1~2주 간격으로 반복 검사해 일시적/지속적 여부 확인
- 운동·사정·장거리 자전거 직후 검사는 피하고 아침 첫 소변 권장
- 가정혈압 기록, 체중·부종 변화 메모 📓
- 복용 중인 약(진통제·보충제 포함) 목록을 정리해 진료 시 공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