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ort.

전립선암 PSA 수치 의미 · 정상 범위

🧬 PSA(전립선특이항원, Prostate-Specific Antigen) 검사는 전립선 건강을 확인하고 전립선암 조기 진단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.
📌 혈액검사로 수치를 확인하며, 연령·건강 상태에 따라 해석이 달라집니다.


PSA 수치 바로 확인 →

① PSA 수치란?

• 전립선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, 혈액 내 PSA 농도가 높으면 전립선 비대증·염증·암 등 이상 가능성을 시사합니다.
• PSA는 자연적으로도 소량 존재하지만, 특정 상황(염증·자극·암세포 증가)에서는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.
정기검진에서 40세 이후 남성은 PSA 검사를 권장합니다.



② PSA 정상 범위

✅ 일반적으로 4.0ng/mL 이하를 정상 범위로 봅니다.
✅ 다만 연령에 따라 기준을 달리 적용하기도 합니다.
- 40대: 0 ~ 2.5ng/mL
- 50대: 0 ~ 3.5ng/mL
- 60대: 0 ~ 4.5ng/mL
- 70대 이상: 0 ~ 6.5ng/mL
✅ 수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전립선암은 아니며, 비대증·염증 등 다른 원인일 수 있습니다.

※ 해석은 반드시 비뇨기과 전문의 진료와 함께 진행해야 하며, PSA 단독으로 진단하지 않습니다.


③ PSA 수치 상승 원인

전립선비대증: 나이 들수록 흔히 발생, PSA 수치 상승 요인
전립선염: 세균 감염이나 만성 염증 시 수치 급상승
전립선암: 진행 정도에 따라 PSA 수치가 뚜렷하게 증가
검사 전 활동: 자전거 타기, 사정(성관계), 전립선 마사지 등도 일시적으로 수치 높일 수 있음


④ PSA 검사 이후 조치

- 수치가 경계 범위(4~10ng/mL)일 경우 추가 검사(자유 PSA 비율, MRI, 조직검사) 권장
- 10ng/mL 이상이면 전립선암 가능성이 높아 정밀 검사가 필요
- 정기적으로 추적검사를 시행해 변화 추이를 관찰해야 합니다.
- 가족력·연령·기저질환에 따라 맞춤형 검사 간격이 필요합니다.


⑤ 체크리스트 ✅

- PSA는 정상 범위라도 안심할 수 없으며, 추세가 중요합니다.
- 검사 전 이틀 정도는 격한 운동·성행위·자전거 타기를 피하는 게 좋아요.
- 비정상 수치가 나왔다면 반드시 비뇨기과 전문의 상담 필요
- 전립선암 조기 진단은 정기검진 + 추가검사가 핵심